민화그리기 수업
학습목표 : 참고작품을 보면서 민화에 대해 알아보고 화선지의 특성을 살려서 나타내도록 한다.
준비물 : 채색도구(수채물감), 화선지, 화지, 참고도안, 먹, 벼루 등등
과정설명 :
- 먼저 참고도안을 정합니다.
- 호랑이를 참고도안을 보면서 그려봅니다.
- 화선지를 화지에 붙인 후, 밑그림을 먹, 또는 유성펜으로 따라 그려봅니다.
- 밑그림을 먹, 또는 유성펜으로 따라 그린 후, 나머지 면들은 수채물감을 사용하여 채색해봅니다.
멋지게 채색하면서 작품을 완성해봅니다
<완성작품>
1. 민화란?
민화는 한국에서 오래전부터 유행했던 하나의 화풍으로, 서민들에 의해 그려진 투박하고 해학적인 이미지의 그림으로 민중들의 생각이 그대로 반영된 가장 한국적인 그림이다.
이러한 전통미술의 소재로 가장 많이 등장하는 동물은 호랑이다. 이 호랑이들은 하나같이 코믹하고 천진난만하다. 민화에 등장하는 한국의 호랑이들은 사납고 험상궂은 모습이 아니라 점잖게 입을 다물고 있거나 혹은 빙그레 웃음을 머금고 있거나 때로는 바보같은 우스꽝스러운 모습을 하고 있어 마치 인자한 옆집 할아버지를 대하는 듯 다정스럽고 친숙함을 느끼게 한다. 이런 모습의 호랑이는 세계 어느 민족의 그림에서도 찾아볼 수 없다.
2. 민화의 특징
- 회화적인 세련미는 없으나 특별한 형식에 구애됨이 없이 소박하고 다양하게 그려졌다.
- 주로 민간신앙에 기반한 주술적 목적의 그림이 많았다.
- 소박하고 파격적이며 익살스러운 것이 특징 – 민화는 공간구성 방법이 독특하다
- 민화는 모든 색채를 강렬한 색상대비로 표현하고 있다
3. 민화의 소재에 담긴 뜻
- 까치 : 복을 부르는 새
- 랑이 : 잡귀를 쫓아냄,
















